모니터블루라이트차단필름 BEST 순위 추천
파트너스활동으로 수수료를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에스뷰 모니터 블루라이트 차단 필름 15.6인치, 단일 색상, 1개, 에스뷰 모니터 블루라이트 차단 필름 22인치W SBFAG-22W, 단일 색상, 1개, 에스뷰 모니터 화면 시력 보호 블루라이트 차단 거치형 필름 SBFHC-14C 325 x 210 mm, 단일색상, 1개, 클린에이지 블루라이트 차단 모니터 정보보안필름 23인치 와이드 16:9, 단일 색상, 1개, TG삼보 PURE VIEW 프리미엄 거치식 블루라이트 차단 모니터 필터 TG BLT 27, 단일색상, 1개, 다이아큐브 [판매자직접배송]무반사 고투명 노트북 시력보호 블루라이트차단 필름, 1매, 엘지 노트북 Gram 15 15인치(39.6cm), 에스뷰 모니터 블루라이트 차단 필름 21인치 SBFAG-21, 단일 색상, 1개, 다이아큐브 저반사 모니터 프리미엄 시력보호 블루라이트차단 보호필름, 1매, 다이아큐브 엘지 (LG) 무반사 노트북 프리미엄 시력보호 블루라이트차단 필름, LG 그램 14 14인치, 1개, 클린에이지 모니터 블루라이트차단 시력보호 필름 23W9, 단일 색상, 1개, 사실상 이 무기의 가장 기본적인 장점이자 가장 중요한 장점. 소련의 무기 컨셉은 인민전쟁론의 영향으로, 처음부터 압도적인 고성능을 가진 정교하고 복잡하며 값비싼, 귀족 계급의 명문 무가에게 어울리는 무기를 소량생산 하기보다는 조금 성능은 떨어져도 값싸고 다루기 쉬운, 시민군이나 민병대, 무식한 농민들을 신속하게 무장시키기 적합한 무기를 대량으로 공급하는 것인데, 이 총이야말로 바로 이 정신의 결정체였다.그야말로 싸고 다루기 쉬우면서도 신뢰도 있는 무기다.어떤 환경에서도 잘 작동하고, 생산 속도도 빨라 방대한 소련군을 빠르게 무장시키기 충분했으며, 값이 싸서 찍어내는 데 문제가 없었으므로, 소련군에게 있어서 가장 이상적인 총이었다.그리고 또다른 장점이라면 바로, 미친듯한 발사속도. 900RPM이라는 연사 속도를 자랑한다.이 또한 제원상의 숫자일 뿐 900을 넘어가는 물량의 수가 훨씬 많으며, 생산 오차나 사격 환경, 윤활유 등의 여부에 따라 분당 1200발을 찍는 경우도 존재한다.이는 후술할 MG42와 동급이며, 가히 소형 전기톱이라고 불러도 무방할 수준이다.정작 그러면서 위에서 보이듯 반동 제어도 상당히 잘되는 것 역시 장점. 당시에도 통칭 히틀러의 전기톱이라 불리는 MG42도 있었지만 이건 분대지원화기고, 뻬뻬샤는 일개 보병용 기관단총이었다.소련군급의 물량인 군인 하나하나가 전부 이걸 들고 쏴재끼면서 쳐들어온다생각을 해보자.생각만 해도 엄청나다.여기에 항독 빨치산들도 상당수가 이 총을 장비하고 전투에 나섰고 독일군의 후방에서 독일군을 괴롭혔다.값이 싸고 다루기가 쉽기 때문에 뿌리기 쉬웠다.71발이라는 압도적인 장탄수도 무시할 수 없다.물론 드럼 탄창은 낮은 신뢰도라는 약점도 있었으며 소련군은 실제 65발 이하로 채우거나 바나나식 탄창을 장려할 정도였지만, 정작 독일군은 71발이라는 엄청난 장탄수에 반해 노획해서 사용할 정도였으며 탄창을 하나 더 장착할 수 있는 MP40 I까지 개발했던 것을 보면 어지간히도 탐나긴 한듯. 게다가 압도적 장탄수가 위의 미친듯한 발사속도와 시너지를 일으키며 화력이 배가 되었다.물론 분대지원화기라면 때에 따라 71발보다 더 많은 탄약을 요구할 수도 있지만 이 물건은 기관단총이고, 기관단총 주제에 분대지원화기와 맞먹는 71발의 대용량 탄창 덕분에 개별 보병의 재장전으로 인한 전투력 상실을 최대한 늦출 수 있었고 덕분에 소련군은 압도적인 전투지속능력으로 독일군을 몰아붙일 수 있었다.이 컨셉은 전후에도 이어져서 AK-47이나 RPG-7, RPK나 PK같은 여러 소련제 명품 보병화기를 만들어냈다.단점총 자체의 정밀도가 많이 낮은 것이 문제였다.이것은 사실 당대 모든 기관단총의 문제이기도 하지만, PPSh-41은 그 정도가 더 심하였다.독소전 개전 후 다급했을 때는 남아돌던 모신나강 소총의 총열을 반으로 잘라 두 자루로 만들었다는 기록이 있을 정도라 탄젠트 가늠자가 있어봤자인 수준이었다.물론 이것은 위에서 말했듯 개전 초기 소련이 개판 5분전이던 때의 초기생산분에나 해당되는 문제고, 이후 대전 중후기에 생산된 물건들의 품질은 총열에 크롬도금 처리를 하는 등 타국의 기관단총에 견줘도 크게 밀리지 않는다.그렇지만 유효사거리가 200미터도 채 되지 않는 기관단총에겐 크게 의미가 없는 탄젠트 가늠자는 1942년부터 폐지되어 MP40처럼 100/200미터 조정만 가능한 것으로 교체된다.또, 한 탄창에 65발 이상 장전할 경우 송탄불량이 생기는 문제가 있었다.이는 드럼 탄창 태엽의 성능 부족이다.드럼 탄창은 대부분 태엽식이며, 최근에 와서야 스프링을 쓰기 시작했다.일반적인 경우 송탄불량이 생기면 바로 태엽을 감아주면 된다.그런데 설계상 PPSh-41의 드럼 탄창은 총알을 채우기 전에 태엽을 감아야 했는데, 가끔 불량이 난 태엽이 튕기면서 사용자의 손가락을 쳐 다치게 했다.반면 톰슨 기관단총의 경우 총알 다 채운 상태에서 태엽을 감았다. 한마디로 설계 문제인데, 태엽 문제가 아니라도 자주 망가졌다고 한다.참고로 이 탄창은 핀란드제 KP/-31의 71발 드럼탄창을 그대로 베낀 물건이다.구조 역시 동일하다.이태의 남부군을 보면 오발이 쉽다고 나온다.